친환경 신발업체 올버즈, ‘길을 잃은 스타트업’으로 전락

한때 ‘신발계의 애플’로 불리며 큰 기대를 모았던 친환경 신발 브랜드 올버즈가 크게 몰락하고 있다. 지난 14일(미국 현지 시간) 기준, 나스닥에 상장된 올버즈의 주가는 1.28달러에 불과했다. 2021년 11월 기업공개(IPO) 당시 주가가 28.64달러였던 것에 비하면 96%나 폭락한 셈이다. 한때 약 17억 달러(약 2조 1500억 원)였던 올버즈의 기업 가치는 현재 2억 달러에도 미치지 못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회사가 한때는 ‘쿨한 문화의 상징’이었지만 이제는 ‘길을 잃은 기업’의 대표 사례로 꼽히고 있다”고 평가했다.

올버즈의 전성기와 ‘울러너’의 등장

2016년, 미국 타임지에서는 올버즈의 대표 제품인 양모 소재 운동화 ‘울러너’를 두고 “세계에서 가장 편안한 신발”이라고 소개했다. 뉴질랜드산 고급 메리노 울을 사용해 만든 이 신발은 편안함과 혁신적인 소재로 큰 인기를 끌었고, 실리콘밸리의 IT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실리콘밸리 유니폼’으로 불리며 사랑받았다. 출시 후 2년 만에 100만 켤레 이상 판매되며 놀라운 성과를 이뤘다.

올버즈는 창업자 팀 브라운과 조이 즈윌링거의 주도로 ‘친환경’을 핵심 가치로 내세웠다. 이들은 폐페트병으로 만든 신발 끈과 사탕수수 폐기물로 만든 밑창 등을 통해 신발 업계를 넘어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혁신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했다. 이런 친환경 철학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방송인 오프라 윈프리, 할리우드 배우 리어나도 디캐프리오와 같은 유명 인사들의 지지를 받으며, 올버즈의 성장에 큰 힘을 실어줬다.

품질 문제로 인한 소비자 신뢰 하락

하지만 올버즈의 최대 약점은 바로 제품의 내구성이었다. 친환경 소재를 강조한 나머지 내구성이 떨어졌고, 일부 제품은 몇 달 사용 후 구멍이 나거나 형태를 잃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사탕수수 소재의 밑창은 장시간 사용 시 쉽게 마모되어 소비자 불만이 이어졌다. 이에 회사는 기능성 의류 사업을 중단하고, 재고를 대폭 할인해 처분하기에 이르렀다. WSJ은 “다양한 신제품 출시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끌어내지 못했다”며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곧 구매로 이어질 것이라는 회사의 가정이 실패로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급격한 확장과 대규모 손실

소비자들의 외면 속에서 지난해 올버즈는 약 1억135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로, 빠르게 확장한 매장 운영 비용이 주요 요인으로 지적된다. 또한, 수요 감소로 인해 대규모 할인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적자 폭이 더욱 커졌다. 올해 1분기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13.4% 감소했다. 즈윌링거 공동 CEO는 “우리를 사랑했던 핵심 소비자들의 니즈를 놓쳤다”며 실책을 인정했다.

올버즈는 이러한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구조조정에 나섰다. 지난해 8월과 올해 5월에 걸쳐 전체 직원의 약 17%를 감원하고, 오프라인 매장도 줄이며 경영 효율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온라인 및 자체 매장 판매’ 정책을 고수하던 방침을 바꿔 미국 백화점 체인 노드스트롬과의 협업을 시작했다. 팀 브라운 공동 CEO는 최근 CEO 직을 내려놓고 최고 혁신 책임자로 전환하여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올버즈의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패션 업계 관계자는 “올버즈가 한때 독보적이었던 시장에 새롭게 떠오르는 경쟁자가 많아졌다”며 “올버즈가 생존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라고 평가했다

Releated

제임스 웹 망원경, 천왕성에서 새로운 위성 발견

NASA의 쾌거: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천왕성의 29번째 위성 발견 미 항공우주국(NASA)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천왕성 궤도를 도는 새로운 위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천왕성이 거느린 위성의 수는 총 29개로 늘어났습니다. 이번 발견은 2025년 2월 2일 관측 도중 이루어졌습니다. 40년 만의 발견, 보이저 2호도 놓쳤던 작은 위성 사우스웨스트 연구소(SwRI)가 이끄는 연구팀은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로 촬영한 40분 […]

1년에 한 번 찾아온 ‘슈퍼 블루문’, 다음 기회는 2037년

최근 밤하늘을 수놓은 ‘슈퍼 블루문’은 극히 드물게 나타나는 천문 현상으로,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겹칠 때 관측된다. 슈퍼문이란 만월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평균 거리의 90% 이내)에 도달할 때를 말한다. 보통 달은 지구에서 약 38만 4,000km 떨어져 있지만, 이번에는 약 2만 3,000km 더 가까워져 지구의 지름 두 배에 달하는 거리만큼 접근했다. 이 시기에는 보름달이 평소보다 더 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