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에 한 번 찾아온 ‘슈퍼 블루문’, 다음 기회는 2037년

최근 밤하늘을 수놓은 ‘슈퍼 블루문’은 극히 드물게 나타나는 천문 현상으로,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겹칠 때 관측된다. 슈퍼문이란 만월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평균 거리의 90% 이내)에 도달할 때를 말한다. 보통 달은 지구에서 약 38만 4,000km 떨어져 있지만, 이번에는 약 2만 3,000km 더 가까워져 지구의 지름 두 배에 달하는 거리만큼 접근했다.

이 시기에는 보름달이 평소보다 더 크고 밝게 보인다. 실제로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때와 비교하면 최대 14% 더 크고, 30% 정도 더 밝은 달을 관찰할 수 있다. 슈퍼문은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연중 3~4회가량 나타나며, 올해 슈퍼문은 19일부터 21일까지 이어졌다.

블루문은 그 이름과 달리 실제로 파란 달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지평선 근처에서 대기 중의 굴절로 인해 황혼에는 더 붉거나 노랗게 보이기도 한다. 블루문이란 한 달에 두 번째로 뜨는 보름달을 지칭한다. 달의 위상 변화 주기가 약 29.53일이기 때문에, 2년 8개월마다 한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뜨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월별 블루문’이라 부른다.

계절별 블루문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3개월마다 보름달이 세 번 나타나지만, 가끔 계절에 따라 네 번이 뜨는 경우가 있다. 이때 세 번째로 뜨는 보름달을 ‘계절별 블루문’이라 부른다. 이번에 관측된 슈퍼 블루문은 슈퍼문과 계절별 블루문이 동시에 나타난 희귀한 순간이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분석에 따르면 슈퍼문은 전체 보름달 중 약 25%를 차지하고, 블루문은 약 6%에 불과하다. 이 두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는 확률은 더욱 낮다. NASA는 “슈퍼 블루문이 다시 나타나기까지 최대 20년이 걸릴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는 10년에 한 번꼴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계절별, 월별 블루문을 모두 고려하면 그 간격은 5년 정도로 좁혀진다.

NASA에 따르면 다음 월별 블루문과 슈퍼문이 함께하는 시기는 2037년 1월과 3월로, 앞으로 13년을 더 기다려야 한다. 한편, 다음 계절별 블루문은 2032년 8월 21일에 관측될 예정이다.

이번 슈퍼 블루문은 천문 애호가와 일반 시민 모두에게 특별한 밤하늘의 추억을 남겼으며, 다음 관측 기회를 손꼽아 기다리게 만들었다.

Releated

성간 혜성 3I/ATLAS의 기원, 여전히 미스터리로 남아

최근 과학계의 이목이 성간 혜성 3I/ATLAS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강력한 망원경을 통한 사진 촬영뿐만 아니라, 그 기원을 밝히기 위한 심도 깊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가이아(GAIA) 데이터, 혜성의 과거를 추적하다 스페인과 스웨덴 공동 연구팀은 혜성의 기원을 추적하기 위해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GAIA) 탐사선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 2013년에 발사되어 올해 1월 임무를 종료한 가이아는 우리 은하 내 수많은 별의 위치, […]

제임스 웹 망원경, 천왕성에서 새로운 위성 발견

NASA의 쾌거: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천왕성의 29번째 위성 발견 미 항공우주국(NASA)은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JWST)이 천왕성 궤도를 도는 새로운 위성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로써 천왕성이 거느린 위성의 수는 총 29개로 늘어났습니다. 이번 발견은 2025년 2월 2일 관측 도중 이루어졌습니다. 40년 만의 발견, 보이저 2호도 놓쳤던 작은 위성 사우스웨스트 연구소(SwRI)가 이끄는 연구팀은 근적외선 카메라(NIRCam)로 촬영한 40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