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에 한 번 찾아온 ‘슈퍼 블루문’, 다음 기회는 2037년

최근 밤하늘을 수놓은 ‘슈퍼 블루문’은 극히 드물게 나타나는 천문 현상으로, 슈퍼문과 블루문이 동시에 겹칠 때 관측된다. 슈퍼문이란 만월이 지구와 가장 가까운 거리(평균 거리의 90% 이내)에 도달할 때를 말한다. 보통 달은 지구에서 약 38만 4,000km 떨어져 있지만, 이번에는 약 2만 3,000km 더 가까워져 지구의 지름 두 배에 달하는 거리만큼 접근했다.

이 시기에는 보름달이 평소보다 더 크고 밝게 보인다. 실제로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때와 비교하면 최대 14% 더 크고, 30% 정도 더 밝은 달을 관찰할 수 있다. 슈퍼문은 달의 공전 궤도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연중 3~4회가량 나타나며, 올해 슈퍼문은 19일부터 21일까지 이어졌다.

블루문은 그 이름과 달리 실제로 파란 달을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지평선 근처에서 대기 중의 굴절로 인해 황혼에는 더 붉거나 노랗게 보이기도 한다. 블루문이란 한 달에 두 번째로 뜨는 보름달을 지칭한다. 달의 위상 변화 주기가 약 29.53일이기 때문에, 2년 8개월마다 한 달에 두 번 보름달이 뜨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월별 블루문’이라 부른다.

계절별 블루문도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3개월마다 보름달이 세 번 나타나지만, 가끔 계절에 따라 네 번이 뜨는 경우가 있다. 이때 세 번째로 뜨는 보름달을 ‘계절별 블루문’이라 부른다. 이번에 관측된 슈퍼 블루문은 슈퍼문과 계절별 블루문이 동시에 나타난 희귀한 순간이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분석에 따르면 슈퍼문은 전체 보름달 중 약 25%를 차지하고, 블루문은 약 6%에 불과하다. 이 두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는 확률은 더욱 낮다. NASA는 “슈퍼 블루문이 다시 나타나기까지 최대 20년이 걸릴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는 10년에 한 번꼴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계절별, 월별 블루문을 모두 고려하면 그 간격은 5년 정도로 좁혀진다.

NASA에 따르면 다음 월별 블루문과 슈퍼문이 함께하는 시기는 2037년 1월과 3월로, 앞으로 13년을 더 기다려야 한다. 한편, 다음 계절별 블루문은 2032년 8월 21일에 관측될 예정이다.

이번 슈퍼 블루문은 천문 애호가와 일반 시민 모두에게 특별한 밤하늘의 추억을 남겼으며, 다음 관측 기회를 손꼽아 기다리게 만들었다.

Releated

한국, 스테이블코인 합법화 추진… 새로운 암호화폐 법안 발의

한국의 새 대통령 이재명이 국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하겠다는 대선 공약을 빠르게 이행하며 암호화폐 산업을 겨냥한 새로운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재명이 소속된 집권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화요일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암호화폐 산업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경쟁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법안에 따르면, 자본금이 최소 5억 원(약 36만8천 달러) 이상인 국내 기업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수 […]

비썸, IPO 앞두고 한국 암호화폐 시장 점유율 확대

그동안 국내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에 밀려 존재감이 미미했던 비썸이 최근 들어 시장 점유율을 눈에 띄게 확대하며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카이코(Kaiko)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비썸은 2023년 한 자릿수에 불과했던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려 현재는 한국 전체 암호화폐 거래량의 약 4분의 1을 꾸준히 차지하고 있다. 이는 국내 디지털 자산 시장이 극히 제한된 소수의 플랫폼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