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논의 재검토는 불가…대통령실 “현실성 없다” 재확인
2025년 의대 정원 확대 계획을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대통령실은 해당 사안을 재논의하자는 의료계의 요구에 대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명확히 했다. 또한 보건복지부 장·차관 교체 요청에 대해서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난 대통령실 관계자는 의료계가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하는 조건으로 2025년 의대 증원 철회를 요구한 데 대해 “이미 여러 차례 밝힌 바와 같이, 내년 의대 정원 확대를 미루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는 “교육부 입장에서도 이미 수시모집이 시작된 상황에서 정원 계획을 바꾸는 것은 교육 현장에 큰 혼란을 줄 수 있어 불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2026년 이후의 의대 정원 조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지를 남겼다. “의료계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의견을 제시한다면 숫자에 얽매이지 않고 제로베이스에서 열린 자세로 검토할 수 있다”며 “의료계가 하루빨리 대화의 장에 나와주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최근 의료계 내부에서 제기된 복지부 장·차관 교체 요구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의료개혁이 진행 중인 시점에서 주요 책임자를 교체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인사권은 대통령 고유의 권한으로, 이와 관련해 변동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날 여야 원내대표가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에 의료계가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데 대해, 대통령실은 “여야가 힘을 합쳐 해법을 찾으려는 데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다만, 의료계 없이 여·야·정만으로 협의체를 가동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료계가 불참할 경우 어떻게 대응할지 예단해 말하기는 어렵다”며 “현재로서는 의료계를 설득해 대화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여·야·의·정 협의체는 여당이 주체가 되어 구성될 예정”이라며 “당정 간 조율은 이뤄지겠지만, 협의체 구성 방식이나 발표는 여당 측에서 진행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대통령실의 이번 입장 표명은 정부의 의료정책 추진 방향에 대한 단호한 태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향후 의료계와의 소통을 통한 해법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